2022. 3월 독서
이런 말이 있다. 주변에 사람 10명이 있으면 7명은 나에게 무관심하고 2명은 내가 어떤 행동을 해도 싫어하고 1명은 내가 어떤 행동을 해도 좋아한다고. (숫자가 맞나..) 그만큼 상대가 나를 바라보는 건 내 몫이 아니라는 말일거다. 최근에 겪은 이별을 돌아보며 내가 뭘 잘못한건가 자책의 시간을 잠시 가졌었는데 사실 내가 그 행동을 하던 말던 이별을 피할 수는 없었겠지 가 맞을거다.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그리고 경영에 관심을 가지면서 조직을 관리하고 사람들 대하는 자세들을 많이 익힐 수 있었다. 그래서 관계가 내 마음대로 안풀릴때 내가 무얼 더 공부해야하나 이런 자연스러운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이 책은 리디셀렉에서 그런 마음의 연장선에서 가볍게 읽게 된 책이다.
- 책 속 문장들-
- 상대방은 당신의 말을 듣기 위한 존재가 아니다. 인간은 독립된 개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의지력을 자신의 생각대로 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통제욕을 버리면 모두가 편안해질 수 있다.
- 에너지 도둑이 나도 같은 불평을 해주기를, 자신의 의견에 동조해주기를 기대할 때 과감하게 무시하라. 나 때문에 대화의 흐름이 살짝 어그러져도 괜찮다. 습관적으로 남 욕하기, 문제 있으면 남 탓하기 등 안 좋은 이야기들이 그득한 대화의 장에서 나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 Y의 문제는 할 말을 속에 쌓아두지 않고 표출하는 일이 솔직하다고 믿는 점이었다. 하지만 솔직하다는 평가는 지나치게 긍정적인 해석일 뿐, 그는 언어폭력을 남발하는 가해자였다.
-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높은 기대감을 경계해야 한다. 항상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접근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상대방이 잘해주면 나 또한 상대방에게 진실한 선의로 보답해주면 된다. 반대로 상대방이 나에게 냉담하면 굳이 애써 상대방의 환심을 살 필요가 없다. 관계에서 계산기를 두드리라는 뜻이 아니다. 상대방을 제대로 대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 사람에게 덜 기대할 것. 내가 준만큼 똑같이 받으려고 욕심내지 않을 것. 이 두 가지가 인간관계에서 실망하지 않는 가장 단순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상대가 무언가 다를거라는 기대감과 호기심에 사랑을 시작하게 되고 그 기대가 별게 아니라는 걸 알았을때 아 이사람도 별거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내가 별거 없는 사람이듯이 사실은 상대도 별거 없는 사람일거다. 기대를 내려 놓는게 건강한 관계를 만든다고 하는데, 그러면 사랑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는건가 하는 생각이 든다. 콩깎지 라는건 그래서 필요한 건가?
'일상 > 독서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 성공하지 못할 거야] 누구나 꿈꾸는 '이거 한번 해볼까?' 의 진짜 이야기 (0) | 2022.08.06 |
---|---|
[해변의 카프카] 하지만 아직도 산다는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0) | 2022.08.06 |
요즘 애들 _ 최고 학력을 쌓고 제일 많이 일하지만 가장 적게 버는 세대 (0) | 2022.04.30 |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_The Creative Curve (0) | 2022.04.29 |
방탄커피 개발자의 최신작 '최강의 인생' (0) | 2022.04.21 |